이민 갔던 한국인들 중 일부가 조선으로 돌아오는 상황도 주목하였다 29) 그런데 그
들은 그러한 사회주의 사상이 당시 경제 불황과 일본 체제에 대한 불만, 그리고
한국 사회의 계급·경제적 모순 때문에 한국인들 사이에서 영향력을 가지고 있고
대중적으로 퍼질 가능성이 많으므로 위험하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30) 이렇게 볼
때, 미국은 사회주의에 대한 경계에 있어서만큼은 일제의 정책에 공감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들은 이런 식으로 일제가 표면적으로 자치정부를 내세우면서도 완전한 자치
를 허용하지 못하는 상황을 이해했지만, 일본이 한국인들에게 同化政策을 편다고
하면서 실질적으로 민족차별을 가하는 것은 모순된다고 보았다 그러한 차별의 예
로 거론된 것은 총독부나 일본인 소유 회사의 관리·직원들의 민족별 구성, 월급
상의 차별, 교육의 기회와 같은 사회적인 차별 등이었다 31) 그들이 보기에는 이런
일제의 차별정책이 한국인들의 민족 감정을 자극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32) 그
러나 더 중요한 것은, 그들이 이러한 민족차별의 근본적인 원인은 한국인들의 무
능력이라고 이해했다는 점이다 33) 그러한 판단은 일제의 선전을 그대로 수용한 결
과로서, 무능하고 후진적인 한국인들은 태생적으로 잘 분열되고, 어떠한 사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력하지 못한다 는 인식으로 이어졌다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