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로 피부양자들이 의존적인 성향을 보이는


일반적 노화과정에 대한 부양자 스트레스, 부양자로서의 역할을 획득할 때 발
생하는 부양자 스트레스 그리고 경제적, 도구적, 정서적 지원에 대한 스트레
스 등의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3개의 요인을 정리해 보았다. 우선 각 요인 간
관계를 살펴보면 부양자 스트레스는 노화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
으나(r=.302, p<.001), 지원 스트레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 중 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은 부양자 스트레스(r=.865, p<.001)
와 노화 스트레스로서(r=.447, p<.001) 특히 요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 부양자 스트레스로 밝혀졌다. 두 번째, 저항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는 요구와 스트레스 자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그
리고 두 요인 중 요구(r=-.149, p<.01)가 스트레스 자각(r=.014, p<.01)보다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구가 증가할수록 저항자원은 감소한다
고 정의할 수 있다. 세 번째, 스트레스 자각에 대하여서는 요구(r=1.612,
p<.001)와 저항자원(r=-.031, p<.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한 영향력
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두 요인 중 요구가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구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 자각에 더 민감하다
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네 번째, 대처전략과 관련이 있는 2가지 요인(저
항자원과 스트레스자각)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고 있었는데
저항자원(r=.792, p<.01)이 스트레스자각(r=.246, p<.001)에 비해 대처전략에
더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항자원이 많으면 많을수록 부양
자가 가지는 대처전략이 다양해지면서 그 능력도 증가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끝으로 다섯 번째 조정행태는 대처전략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r=.396, p<.001), 그 관계도 정(+)적인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양스트
레스에 대한 대처전략이 많으면 많을수록,



WRITTEN BY
희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들만의세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