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자각(Meaning)
가족이 처한 스트레스 상황에 부여하는 정의 또는 의미
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양책임감, 부양동기, 그리고 부양부담감이 사용되었다. 스트레스 자각에 대
한 요인분석 결과 일상생활에 대한 부담감 및 방해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생활부담 11개 문항과, 노인에 대한 두려움, 불편함 및 각종 부담감
을 나타내는 대인부담 9개 문항, 부양책임감에 대한 요소 6개 문항 및 부양
동기에 대한 요소 7개 문항으로 구분되었다. 이 경우, 신뢰도는 .908이었으며
KMO 값은 .922, Bartlett 구형성검정치는 12,699,190으로 요인분석은 적합하
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 부양책임감
부양자가 느끼는 부양책임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바흐(Sealbach, 1978)가
개발한 부양책임감 척도를 사용하였다(김영범, 2009: 재인용). 부양책임감 척도
는 총 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
다’의 5점 척도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부양책임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
다. 서울, 춘천지역 중·고령자의 부양책임감의 변화에 대한 김영범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조사 시기별로 최소 .71에서 최대 .74로 파악되었다(김영범, 2009). 본
연구에서는 실바흐의 부양책임감 척도 6문항 모두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2) 부양동기
부양자의 부양동기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서연(2009)이 사용한 부양동기 9문
항을 사용하였다. 이서연의 연구에서는 ‘예’, ‘아니오’로 구성된 2점 척도를 사
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로 구성된 5
점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총 9문항 중 7문항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부양자에게 표출되는 강한 부양동기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WRITTEN BY
- 희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들만의세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