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제언
탈북청소년이 남한 사회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정립
해 가는데 시장경제체제의 올바른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바람
직한 경제 가치관을 통한 진로와 직업의 선택은 이들의 안정적인 정
착에 있어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할 것이다. 따라서 탈북청소년의 경
제 의식을 파악하고, 남한청소년과의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
는 것은 적합한 경제교육의 제공을 위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탈북청소년의 경제교육 실태와 경제의식에 대하여 조사
하여 경제교육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에서 탈북청소년은 경제관련 태도, 소비행태, 금융행
태에서 남한청소년과는 구별되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탈북청소년의
개인 변인, 가정환경 변인, 학교 경제교육 변인에 따라 경제의식에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탈
북청소년의 바람직한 경제의식 형성과 경제활동 지원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탈북청소년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한 단계별 표준화된 경
제교육과정 또는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현재의 각 기관별로
제공하는 단편적인 경제교육에서 나아가, 초기 교육지원-학교 교육과
정-민간단체 교육지원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경제교육과정 개발이 요
구된다. 탈북청소년은 남한청소년과 용돈 사용처와 아르바이트 경험
정도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 경제교육을 통해 배우고 싶은 내용
과 학교 경제교육의 유용성에 대해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탈
북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을 동일한 교육과정으로 경제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탈북청소년의 요구와 탈북청소년의 북한·제3국에
서의 교육 경험, 남한거주기간 등의 특성을 반영하여 특별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보완된 경제교육과정을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탈북청소년에게 적절하게 경제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 학
교 경제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William B. Walstad & John C. Soper(1988)는 경제교육과정, 숙련된
교사, 지역단위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경제이해도를 증대하
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시장주의체제로 전환한 우크라이
나 사례(Elena Reshetnyak, 2012)에서와 같이, 탈북청소년을 위한 표
준화된 교육 프로그램과 교구보다도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
는 교사의 양성과 네트워크 형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탈북청소
년을 교육 현장에서 직접 대면하면서 경제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각
급 학교의 교사이기 때문에, 교육의 적절성과 효과성을 고려한다면,
교사 연수와 교육 지원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WRITTEN BY
- 희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들만의세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