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청소년과 남한청소년 간의 한 달 평균 용돈금액에
있어서는 다음 -24에서와 같이 탈북청소년은 3만원 이상 5만원
미만(43.4%), 1만원 이상 3만원 미만(23.8%), 5만원 이상 7만원 미만
(17.2%) 순으로 나타난 반면, 남한 청소년은 3만원 이상 5만원 미만
(26.7%), 5만원 이상 7만원 미만(25.2%), 7만원 이상(25.2%) 순으로
탈북청소년 보다 남한청소년이 상대적으로 용돈금액이 높은 학생이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001 수준에
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24 한 달 평균 용돈금액
용돈기입장의 기록 여부에 대해서는 한 번도 써 본적이 없다고
응답한 남한청소년(62.6%)이 탈북청소년(36.1%)보다 많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001 수준에서 유의미하다.
-25 용돈기입장기록
남한
빈도(명) 82 42 5 2 131
백분율 62.6% 32.1% 3.8% 1.5% 100.0%
최대지출항목
전체
간식비 의류구입 교통통신 문화생활 기타
탈북
빈도(명) 13 24 73 9 3 122
백분율 10.6% 19.7% 59.8% 7.4% 2.5% 100.0%
남한
빈도(명) 63 8 12 33 15 131
백분율 48.1% 6.1% 9.1% 25.2% 11.5% 100.0%
한편, 탈북청소년은 용돈을 교통·통신비(59.8%), 의류구입
(19.7%)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남한청소년은 간식비(48.1%), 문화
생활비(25.2%)에 가장 많은 지출을 한다고 응답하여, 용돈의 주요 사
용처에서도 .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26 용돈 중 최대지출항목
용돈과 관련한 비교를 종합해 보면, 남한청소년과 탈북청소년은
용돈을 정기적으로 받는 학생의 비율은 비슷하지만, 용돈규모에 있어
서는 남한청소년이 큰 편이라 할 수 있으며, 용돈기입장을 사용해 본
경험이 없는 남한청소년이 더 많았다.
b. 아르바이트
남한청소년과 탈북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에서는 탈북청소년
의 61.5%가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해, 남한청소년(29.8%)보
다 약 두 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차이는 .001 수준에서 통계적
으로 의미가 있다. 가장 많은 아르바이트 장소는 남한청소년과 탈북
WRITTEN BY
- 희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들만의세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