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청소년이 용돈 중에서 가장 많이 지출하는 항목에 따른 생
애주기 이해와 저축 계획 수립의 차이는 의류구입비(M=2.96)가 가장
높고, 문화생활비(M=2.42), 교통·통신비(M=2.31), 간식비(M=2.18) 순
으로 나타난다. 간식비는 단기적이고 비계획적 지출인 경우가 많고,
교통·통신비는 고정적 지출이기 때문에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애주기나 저축 계획에의 영향이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최대 용돈사용항목에 따른 생애주기와 저축 계획 수립 차이
b. 학교 경제교육 변인
탈북청소년의 생애주기에 대한 이해와 계획을 세워 저축을 하
는 행태에 영향을 주는 학교 경제교육 변인은 학교 경제교육의 유용
구분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상수) 2.027 .316 6.422 .000
학교 경제교육 유용성 .295 .102 .292 2.890** .005
자신에게 경제교육 필요 -.081 .050 -.144 -1.606 .111
경제현안 이해 도움 -.100 .088 -.114 -1.134 .259
R2=.083 F=3.469 p=.019
성(β=.292, p<.01)이다. 학교 경제교육의 유용성은 생애주기 이해와
저축 계획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탈북청소년이 학교 경제
교육이 도움이 된다고 느낄수록 생애주기를 이해하고 계획을 세워
저축을 하는 행태도 증가된다고 볼 수 있다.
-49 학교 경제교육 변인에 따른 생애주기와 저축 계획 수립
**p<.01
나. 저축을 위한 소비조절과 신용의 중요성 인식
a. 개인 변인
저축을 위한 소비조절과 신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은 북한·제3국에서의 교육 경험(β=.240, p<.05)이다.
즉, 두 변인 간의 정(+)의 관계가 성립되어 탈북청소년이 북한·제3국
에서 교육 경험이 증가하면 저축을 위해 소비를 조절하고 신용이 중
요하다는 인식도 증가된다.
WRITTEN BY
- 희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들만의세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