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외교관들은 총독부의 정책에 대한 한국인들의 반응에 따라 식자층의 정치
적 성향을 분류하였다  즉 그들을 (1) 절대 총독부에 협조하지 않고 완전 독립을
추구하는 부류, (2) 한국의 힘이 약해서 주권을 잃었다고 인정하면서도 총독부의
강압적이고 차별적인 정책에는 반대하는 민족주의적인 감정을 가진 부류, (3) 확
신을 가지고 일본에 협조하는 부류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미국인들의 분류는 1930년대 국내 민족해방운동의 전개 상황을 염두에
두면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920년대 후반 이래 조선에서는 생활이 궁핍해진

노동자 농민들의 투쟁의식이 고양되었고, 학생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사회주의 사
상이 대중화되고 있었다


WRITTEN BY
희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들만의세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