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과 제4장에서는 중국식 정당제도의 특색과 공산당주도의 독재정치
아래에서도 끊임없이 이어져온 민주주의를 위한 중국인민의 노력과 민주주
의의의 현주소를 살펴보았다
5장, 6장에서는 ‘8대 민주당파’의 등장배경과 성장, 역사적 기능과 역할,
외부적 요소로서 국민당(國民黨)과 공산당의 등장, 내부적 요소로는 개혁개
방정책 이후 중국내의 변화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7장, 8장, 9장(결론)에서는 냉전이데올로기 해체 후, ‘세계화’와 ‘지구시민
사회화’의 영향에서 비롯된 흐름이 어떻게 중국의 민주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진단해 본다
또한, 중국특색의 정치 기구로, ‘다당합작’ 이란 방식으로 작동 하는 ‘인민
정치협상회의’가 이미 훌륭하게 구비된 헌법이념(憲法理念)을 어떻게 현실에
구현하며, 어떤 ‘중국특색의 민주주의’를 창조해 갈지에 대한 기대와 함께
필자가보는 당위성을 토로한다
WRITTEN BY
- 희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들만의세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