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시히 마모루,이노센스,
인간과 기계가 수렴된 새로운 혼성의이러한 재현의 개념은 디자인 측면에서
창조적 작업이며 현실과는 다른 독립된 어떤 형상화를 추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현대에 와서는 지시대상 없는 순수한 가상, 심지어는 원본을

 지워버리는 이미지로서의 시뮬라크르(simulacre) 라는 개념으로 재현이 진화하게 된다
이 같은 이론의 출현은 현대 사회를 현실
과 이미지, 그리고 지시대상과 기호, 또는 기표(signifiant)와 기의(signifie)
의 이원론적 구분이 모호한 것으로 파악한 데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입장은
복제의 복제, 즉 ‘유사(resemblance)'의 진리 아닌’상사
현대공간에서 나타나는 재현성(再現性)에 관한 연구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의 특성을 이미지의 개념 분석 5단계를 보면 사실성
의 반영으로 점점 사실성을 감추고 변질시킨 다음, 사실성의 부재를 감추게
되고 마지막 단계에선 부재를 감추고 어떠한 사실성과도 무관한 시뮬라크르가
된다 이 개념 분석을 통하여 현대공간에서 나타나는 재현성의 표현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WRITTEN BY
희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들만의세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