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이 문화산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기업의 이윤추구,
국가경쟁력 강화 등의 것들이다.
이에 대해 부정론은 주장하는 측은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문화비판이론, 문
화 제국주의 비판론, 비판적 대중문화론 등이 주류를 이룬다. 부정론의 핵
심적 주장은 다음과 같다. ①‘경제로서의 문화’가 지속되는 한, 대중은 문화
소비자에 불과한 존재가 된다. ②대중은 문화상품 판매를 위한 자료로서 생
산자에 의해 사물화된다. ③문화산업은 이윤추구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 결
국 문화산업은 돈벌이에 불과하다. ④국제적 차원에서의 문화종속, 국내적,
지역적 차원에서의 문화 격차 등이 발생한다. ⑤문화 생산자가 디자인과 광
고를 통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자극함으로써 문화상품의 사용가치보다는 이
미지나 기호를 소비하는 경향을 띤다. ⑥문화산업은 외관상 대중의 자율이
나 자유를 가장하여 소비를 강요하는 소비 이데올로기, 돈벌이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

⑦문화의 보편화는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선진국의 문화제국주의적 지배다.


WRITTEN BY
희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들만의세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