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고도의 산업화로 인하여 인간 생활의 물질적 풍요와 수많은
편리한 혜택을 주었지만 반면에 물질만능주의,한탕주의,출세지향적인 경쟁
주의,목적만을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무시하는 편법주의 난무,가치관의 혼
란과 윤리의 파괴,빈부격차의 문제,흉악범죄와 인명경시풍조,가정교육과
사회교육의 부재 등 수많은 문제점을 남겨 놓았다.현대사회에서는 이러한
반윤리적인 요소들이 산재해 있어 개인은 물론 사회전체가 위험한 지경에
이르렀다.이러한 상황들은 개인과 사회의 자각과 윤리의식과 도덕성의 회
복으로 치유해 나가야할 과제들이다.개인과 사회는 불가분의 관계로 상호
적이고 공생관계이다.개인의 건강한 윤리 의식이 건강한 사회를 이루고,사
회의 올바른 정책이 올바른 구성원을 만든다.

 

 


현대사회는 직업활동을 통하여 개인의 활동의 사회적 형태로 나타난다.
직업활동을 통한 사회적 활둥을 하기에는 많은 반윤리적 요소들이 잠복해
있다.직업활동을 통한 반윤리적 요소들에 노출된 개개인들이 이러한 갈등
상황을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사회현장으로 투입되기 이전에 바람직한
직업윤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그럼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직업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지니는 만큼 직업윤리교육을 위해 사회국가적 차원에서는 어떠한
협조가 있는지,보완되고 수정되어져야 한 점은 무엇인지,국가적 차원에서
직업윤리교육을 위한 역할에는 어떤 점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한다.또한 직
업윤리교육의 최일선에 있는 학교교육에서는 직업윤리교육을 위해 교육과정
이 어떻게 개정되고 보충되고 있는지와,진로직업과 관련된 학생들의 지
도가 실천되어 지고 있는지를 조사할 것이며,진로직업교육과 직업윤리교
육에 있어 가장 밀접한 교과목인 도덕윤리과 교과목의 비중과 활용성을
고찰할 것이다.

 


또한,올바른 직업윤리교육의 이 실천되기 위한 환경조성 설정을 위하여
교육현장과 사회단체 및 기관들의 어떤 역할과 수행하면서 나아가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즉,현대사회에서 요청되는 직업윤리를 완성
하는 근거가 되는 교육 현장에서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보다 현실
적이고 실천적이며 효율성을 지닌 교육 방법으로 접근을 모색하고자 함이
다.이와 같은 조사 과제를 위해 본 조사자는 국내의 관련 문헌조사와 내용모
색 방법을 기본으로 하되,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기사와 도교육
위원회 편찬인 고등학교용 진로교육프로그램자료,제 7차 교육과정의 도덕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집을 적극 활용 할 것이
다.위의 방법으로 직업윤리교육의 필요성과 교육과정에서의 직업윤리교육의
실태 및 지도내용을 통하여 결론에서는 직업윤리교육의 방향성 제시를 통해
보다 현실적 직업윤리교육이 교육현장에서 실천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면
서 맺음을 하고자 한다.


WRITTEN BY
희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들만의세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