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을 정립하는데 기여한다.김혜선

(2002)은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의 체계
화 방안의 세 번째와 네 번째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우리
나라 소비자 교육의 경우 이론에 중점을 둔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이다.소
비자 교육을 내재화․생활화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실생활 문제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내용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소비
자 교육 내용 영역과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상호 관련성을 고려하여 자립
인간능력의 개발이라는 소비자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에 입각한 과정별 교육
이 필요하다.즉,소비자 교육이 학습자에게 보다 의미 있기 위해서 교육의
형태가 실제적 이어야하며,통합적인 교수 학습 방법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Kourilsky(1985)와 Armento와 Flores(1986)도 연구를 통해 5세 유아에게
는 실제 경험을 통해서만 경제 개념의 교육과정을 가장 잘 이해시킬 수 있
다고 보고 하였으며,Edward(1986)는 유아에게 실제적이며 직접적인 경험을
주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교사는 직접적이고 개별적인 경험을 줌으로써 유아가 경제 체제에
대해 더 구체적인 정보를 갖도록 도울 수 있다.상품의 생산,소비의 과정과
서비스에 대해 가장 잘 이해시킬 수 있는 방법은 현장 견학이다.이와 같은
견학은 운송,우리를 돕는 지역사회의 사람들,공공 서비스,산업,농업,건
물 및 도로 건설,구매와 판매 같은 주제를 다루는 교육과정과 통합되어 실
시될 수 있다.유아와 함께 견학가 볼 만한 곳은 동네 가게(예:신발 가게,
세탁소,미용실,컴퓨터 가게),우체국,스포츠 센터,물품 보관소,빵 공장,
정비소,소방서 등이 있다


WRITTEN BY
희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들만의세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