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죠아

가족의 생활 및 사건의 변화에 따른 부담

희순 2016. 5. 27. 13:54

가족의 생활 및 사건의 변화에 따른 부담


을 나타내는 FILE 요인의 경우를
살펴보면, FILE 1-3 요소는 모두 생활부담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생활부담↔가족갈등-FILE1, r=.323; 가족변화-FILE2, r=.217; 경제변
화-FILE3, r=.240, p<.01], 가족질병(FILE4) 요인은 대처자원(Resource)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120, p<.01). 다음으로 5가지 가족자원 요인에 대
한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가족 자원요인 중 가족내구력(FHI)요인은 자원관리
(FIRM)와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으며(r=.778, p<.01), 자원관리(FIRM)요인은
가족강점(Strength)과의 관계가(r=.759, p<.01) 가족신념(Belief)요인의 경우도
가족강점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428, p<.01). 가족강점 요인
은 생활부담(부양부담-1)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r=-.379,
p<.01), 스트레스 대처자원에 대한 요인은 부양책임감(부양부담-3)의 상관계
수(r=.332, p<.01)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부담요인 중 대인부담
(부양부담-2)은 부양동기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r=.353, p<.01). 끝으로
부양책임감은 부양동기(Motive)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상관계수는 r=.324(p<.01)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