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교육은 경제현상의 이해
Ⅵ. 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논의
경제교육은 경제현상의 이해와 더불어, 경제적 사고력의 개발과
경제생활 문제의 합리적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경제의식이 경제학적
사고방법과 경제윤리를 바탕으로 형성된다고 볼 때, 경제교육은 바람
직한 경제의식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시장경제체제에 익숙하지 않은 탈북청소년의 경제교육을
통한 경제의식 함양은 남한 사회에서의 적응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정립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탈북청소년에게 유용한 경제교육
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경제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경제의식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탈북청소년의 학교
경제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탈북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경제교육의
유용성, 경제에 대한 태도, 소비행태, 금융행태 등을 비교하여 탈북청
소년의 경제의식이 가지는 특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이들의
경제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경제교육에의 시
사점을 도출해 봄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1) 탈북청소년의 학교 경제교육 실태, 2) 탈북청소년
과 남한청소년의 경제의식 비교, 3) 탈북청소년의 경제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가정환경 변인·학교경제교육 변인 분석 등 세 가지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는 서울과 경기에 재학 중
- 91 -
인 탈북청소년 126명과 남한청소년 145명, 총 271명을 설문조사하여,
탈북청소년 122명, 남한청소년 131명 총 253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
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검증
(reliability analysis), 교차분석(crosstabulation analysis)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 T-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회귀분석방법(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탈북청소년의 학교 경제교육 실태와 경제의식에 대한 조사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탈북청소년의 학교 경제교육은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균형
과 실용적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 초기 교육 지원으로써, 하나둘
학교 청소년반 사회과 교육과정은 경제활동의 기본원리 이해, 시장경
제체제 설명, 소비와 저축 방법 등의 경제교육 내용요소를 포함한다.
특성화학교인 한겨레고등학교는 교육과정을 교과학습과 인성·문화 활
동을 중심으로 편성하고 있어, 실생활과 연관된 경제교육 보완이 요
구된다. 여명학교는 탈북청소년 대상 대안교육기관으로써, 미시경제
에서 경제주체의 역할과 의사결정 영역의 중요성은 자세히 다루는
반면, 거시경제의 이해는 미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