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
유용성이 탈북청소년의 현재 경제 상황 만족
희순
2016. 4. 20. 11:29
유용성이 탈북청소년의 현재 경제 상황 만족과 미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전망에 가장 중요한 영향 요인이라 볼 수 있다.
-40 학교 경제교육에 따른 현재 경제 상황 만족과 미래 전망
나. 경제현안에 대한 태도
a. 개인 변인
노사문제, 빈부격차, 물가, 부동산투기, 실업 등 우리 사회 경제
현안에 대한 탈북청소년의 태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심각하지 않다고
인식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아래 -41에서 보여 지는 두 변인간
의 정(+)의 관계는 북한이나 제3국에서 교육 경험(β=.210, p<.05)이
증가될수록 경제 현안이 심각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다.
-41 북한·제3국 교육경험에 따른 경제 현안에 대한 태도
2) 소비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탈북청소년의 소비행태 중에서 모방구매, 충동구매, 과시구매
등의 비합리적 소비행태는 개인 변인인 북한 제3국에서의 교육 경
험, 나이, 용돈 사용처에 따라 영향을 받고, 또한 학교 경제교육 변
인 중 자신에게 경제교육 필요 여부, 경제지식 습득 경로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 비합리적 소비
a. 개인변인
북한·제3국에서의 교육 경험(β=.492, p<.001)은 충동구매, 과시
구매, 모방구매와 같은 비합리적 소비행태에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점수가 높을수록 비합리적 소비행태가 낮기 때문
에, 이러한 정(+)의 관계는 북한·제3국에서의 교육 경험이 증가될수
록 비합리적 소비행태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42 개인변인에 따른 비합리적 소비행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