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경제의식, 국제경제의식, 협동의식, 절약의식, 창조의식
-15 조사대상의 규정 및 실증조사 방법
모집단 중·고등학교 재학 중인 탈북청소년과 남한청소년
표본
·탈북청소년 126명 (서울 강서·노원, 경기 평택)
·남한청소년 145명 (서울 송파, 경기 안양·양평)
총 271명
조사기간 2012년 5월 14일~5월 27일까지 약 14일간
3. 설문지의 구성 및 신뢰도 분석
경제의식 영역 설정은 연구마다 다소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으
로 경제교육에 관한 의식, 소비의식, 저축의식, 직업의식, 기업의식,
국민경제의식, 국제경제의식, 협동의식, 절약의식, 창조의식 등의 영
역과 세부 개념들로 구분․설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관련 태도,
소비행태, 금융행태 등으로 제한하여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구체적인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설문에서 독립변
수는 탈북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제관련 태도, 소비행태, 금융
행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변인, 가정환경 변인, 학교 경제교
육 변인 등으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는 일반적인 경제의식 설정을 바
탕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한국직업능률개발원의 한국교육고
용패널조사 3차년도(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2006)
조사의 설문 문항을 참고하여 재구성하였다. KEEP의 조사는 한국개
발원의 김경근(1994)이 청소년 경제의식 조사를 위해 개발한 설문을
바탕으로 하여 소비행동, 경제현안에 대한 견해, 경제미래관, 경제자
립관, 학교 경제교육의 유용성에 대한 평가 등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 조사 문항에 탈북청소년의 개인 변인, 학교 경제교육
유용성, 금융행태관련 문항을 보완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각 문항의 응답 범주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
다/ 매우 그렇다’이며, 4점 Likert 척도로 점수를 측정하여 높은 점수
가 높은 경제의식 수준을 반영하도록 설계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은 개인 변인, 가정환경 변인, 학
교 경제교육 변인으로 명목척도를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개인 변인은
나이, 성별, 학년, 남한 거주 기간, 북한이나 제3국 교육 경험 여부,
용돈 수준, 금전출납 기록 여부, 아르바이트 경험 등 11문항, 가정환
경 변인은 보호자 동거 여부, 보호자 직업, 월 평균 수입 등 3문항에
걸쳐 설문하고, 학교 경제교육 변인으로는 자신에게 경제교육이 필요
한지 여부와 경제지식 습득 경로, 학교 경제교육의 유용성관 관련된
내용으로 10문항이 구성되었다. 이와 함께 경제관련 태도 14문항, 소
비행태 7문항, 금융행태 7문항 순으로 총 52문항이다.
설문지는 응답자가 한 가지 질문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응답 가
운데 선택하는 한정식(Closed-end questionnaire)을 사용하였으며, 구
체적인 항목은 다음 -16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