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블링/살림재미

제를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하도록 돕는 일이라고 정의

희순 2016. 7. 15. 13:14

제를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하도록 돕는 일이라고 정의

하였다.박미자
(2008)는 경제개념을 경제적 의사결정에 있어서 개인적․사회적 문제를 합
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고의 기초가 되는 경제의 기본 개념으로 정의하
였다.
경제 교육의 내용분류에 있어 Schug(1983)은 경제교육의 내용을 경제적
욕구,제한 수입,기회비용,자유로운 교환,화폐,가격,제도로 분류하였고,
Seefelt(1997)는 경제 개념을 필요와 욕구,의사결정,소비자,화폐의 사용,
재화의 생산과 용역의 공급으로 제시하였으며,Day(1988)는 상품과 서비스,
생산,희소성,소비자,생산자,무역,돈,분업,자본,저축과 투자,시장가격,
가겨과 이익,국민총생산,인플레이션을 경제개념으로 분류하였다.우리나라
학자들의 경우 김영옥,홍혜경(1988)은 경제 교육의 내용영역에 대해 소비,
돈,물건구매/시장개념,직업과 일,생산,광고로 구분하고 있으며,안선,김
희진(2003)은 경제학의 범주를 자원의 부족(사람의 필요와 자원의 유한성),
생산과 소비(생산,분배,소비),직업(다양한 일,일의 필요와 즐거움),돈의
기능(돈의 쓰임새와 가치)로 나누었다.박미자(2008)는 유아기는 기초적인
경제개념과 인식이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유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직면하는
경제 관련 문제를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희소성과
선택,기회비용’,‘소비’,‘상품과 서비스’,‘화폐’,‘가격과 교환’,‘직업과 일’,
‘시장’과 같은 초보적인 경제 개념들을 포함시켜 교육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제시된 경제개념의 정의와 분류는 다양하나 본 연구에서는 박미
자(2008)의 분류에 따른 ‘희소성과 선택,기회비용’,‘소비’,‘상품과 서비스’,
‘화폐’,‘가격과 교환’,‘직업과 일’,‘시장’의 경제 기본개념을 중심으로 내용
및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