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일상
개혁개방 이후 저장성 제도변천의 중요한 특징
희순
2016. 6. 29. 16:38
개혁개방 이후 저장성 제도변천의 중요한 특징
은 국유제 비중을 계속
내리고 비국유제 비중을 급속히 상승하는 것이다. 모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 비국유화비율로 저장성 제도변천의 상황을 반영한다.
2. 경제성장 요인의 경험적 분석
1) 모형설정
본 논문에서는 세운 모형은 로버트 솔로(Robert Merton Solow)의 성장모
형을 참조하였다. 성장모형의 기본적인 원칙은 콥-더글라스 생산함수부터 출
발하여 경제성장과 각각 성장요인 사이의 양적 관계를 건립하였다.25) 저장성
의 구체적인 상황과 결합하여 성장모형에서 자본(K), 노동력(L), 산업
구조(X1), 제도(X2)등 변수를 도입하여 다음의 수식을 세우었다.
(1) 1 2
1 2
Y = AKa Lb Xg Xg
(1)식의 Y는 산출량, 실질 생산총액(실질GDP)으로 표시하고, K는 고정자
본량, 불변가격(可比价格)에 의거하여 계산된 고정자산투자 총액으로 표시한
다. L은 노동투입량, 총 취업 인구로 표시하고, X1은 산업 구조, 1차 산업이
총 취업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표시하며,26) X2는 제도요인, 비국유화
비율(비국유화비율=비국유공업 생산총액∕공업총생산액)이다. α,β, γ1, γ2는
각각 K,L,X1, X2의 산출탄력성(Elasticity of Output)이고, A는 상수항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