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블링/살림재미

태도가 자본주의의 근본 정신임을 알 수 있다

희순 2016. 6. 23. 13:23

태도가 자본주의의 근본 정신임을 알 수 있다. 즉 아담 스미스의 타인을 고려하는
이기심과 근면, 노동의 중요성을 막스 베버의 노동의 중시,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근면, 절약, 검소한 생활에 의한 깨끗한 부의 추구, 개인의 책임 완수, 바람직하고
합리적인 가치 추구 등이 당시의 경제윤리관이었으며 이것은 오늘 날까지 현대인
에게 경제 윤리적인 덕목으로 인식되고 있다.
나. 독점 자본주의 경제윤리
초기 자본주의로부터 완성된 자유시장 경제윤리는 1차 대전과 사회주의 국가들
의 탄생으로 최소의 변화를 겪게 된다. 산업혁명으로 야기된 과잉생산으로 인하여
약소 자본가의 도태를 가져왔고, 그 결과 독점 자본주의가 생겨난 것이다. 시장경
제 원리에 의한 자본주의는 결국 사회주의의 도전에 의하여 그 원리를 수정해 가
면서 그 존립기반을 다져가는데 자본주의 발전에 의해 조성된 모순은 고전적 시
장경제 원리를 변화시키지 않을 수 없었다.
고전 경제학자들과 달리 칼 마르크스(K. Mark)를 비롯한 사회주의 경제학자들
은, 경제윤리가 개인의 물질적 이윤 동기여서는 안되고 인성에 내재하는 협동에
기초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그들은 협동의 정의는 공평한 소득분배로 되어야
하며 공평한 소득분배를 위한 경제적 기초로서 생산 수단이 공유 또는 국유화 되
어야 한다고 보았다. 결과적으로 서구 자본주의가 독과점화를 심화시킴으로써 대
기업의 출현에 따른 시장 지배력의 강화, 민간 경제활동에 대한 정부의 통제를 야
기시키게 되자 자유시장 경제원리에도 다음과 같은 윤리적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첫째, 과거에는 근면, 근검, 절약이 일반적인 윤리였으나 이제는 소비하고 즐기
기 위해서 일한다는 대량소비 시대의 윤리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윤 취득을
위한 노동과 성취윤리는 상당히 약화되고 경제적 가치의 창조사상도 약해졌다.
둘째, 대기업 노동조합 및 기타 경제적 조직에 있어서 과거에는 개체중심의 합리
적 추구가 기본 윤리였으나 이제는 경영관리를 통한 시장 개척력과 단체의 지속
력 및 시장 점유율 등의 성장을 위한 단체 공동목표의 추구에 의지하려는 현상이
부분적으로 나타난다.